티스토리 뷰
약들의 리스트가 돌아다닐 정도다. 대표적으로는 비아그라, 당뇨약, 항생제, 무좀약, 우울증 치료제, 천식 치료제, 고혈압약, 고지혈증 치료제, 위궤양약, 금연보조제 등이 있다. 이는 자몽이 소화될때 간의 독성을 해독하는 효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몽을 소화하느라 간이 약의 독성을 해독하지 못 하기 때문이다. 3. 심장질환 약 + 청국장, 클로렐라, 소의 간 등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약이 가진 또 하나의 부작용이 살이 빠진다는 겁니다. (삭센다가 유명하지만 이것도 당뇨약에서 나왔져) 아무튼 그래서 그러한 효과를 대중이 먹을 수 있는 형태로 임상실험 중이라고 하니... 오래살려면 당뇨에 걸려서 이 약을 먹어야...(어엇?) PS. 예쁜 꼬마선충이 포도당펌프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변형으로 항상 배고픈 상태를 만들면 더 활발하게 오래 산다고 합니다. 이거랑 같은 효과가 아닐까 예상이 되고... 이것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변형하는 것으로
먹어요. 교통사고 난후 작년 11월에 처음 발병해서 먹다가 7월에 끊었는데 9월에 무릎연골이 파열되면서 혈당이 치솟네요. ㅜㅜ 무서워서 다시 먹는데 안 먹고 평안하게 사시는 분들은 왜 그런건가요? 부럽기도 하고 가끔은 버텨볼까싶은 생각이 불끈 들기도 해요. 너무 약에 의존하는게 아닌가 하는거죠. 혹시 저와 같은 생각 가진 분 있으신가요? 저는 당 때문에 복용중입니다. 암튼 지금 5주차 들어가는데 정말 손발절임 90% 잡았습니다. 크릴오일 같이 복용하고요 아침 저녁 한알씩~! 그외 다른 약 안먹고(당뇨약 안먹음) 이거로만 쓰고 있어요. 개인적
들었습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 이게 무설탕 아메리카노라고 생각하고 답을 준 게 아닌가 해서요. 저는 주로 카누+설탕 조합으로 마시거든요. 그래서 여쭙니다. CT 검사 하는 당일에 가당된 커피를 마셔도 되는 걸까요? 상관 없겠지만, 당뇨 환자라서 당뇨약은 검사 당일 포함 이틀 후까지 3일 간 복용금지더군요. 보언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당뇨약 복용중 지인소개 로 비트가루 타먹으니 혈당이 100 이상 떨어지내요 사람마다다르겠지만 요. 전 의사 허락하에 당뇨약을 끊었거든요. 근데 갑자기 재발해서
그 결과 독성간염을 일으킬 수 있다. 실제로 거의 모든 종합 감기약에는 성분명에 아세트아미노펜이 있는데, 이는 타이레놀의 화학명칭이다. 참고로 본의 아니게 똑같은 약을 함께 먹게 될 수도 있는데, 보통 약국에서 약을 처방받을때 자신이 특정한 약을 복용하고 있음을 알리지 않아 발생한다. 이를 '중복 처방'이라고 하며, 심각한 경우 부작용으로 인한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막기 위해서는 의사나 약사에게 가장 먼저 자신이 이미 먹고 있는 약을 알려야 한다. 약과
의견이지만 효과있어요. 펜벤다졸은 이제 비싸서 힘들고 사람용 알벤다졸이 흡수율도 좋고 부작용이 없답니다. 저 또한 부작용 같은건 못느껴요~! 안녕하세요? 제가, 촬영 전에 받은 안내문을 잃어버리는 바람에...... 방금 다리와 복부 쪽 CT 촬영을 마쳤는데요, 식사를 바로 해도 되는 건지, 그리고 당뇨약을 제외한
탈모가 생긴 듯 한데요. 머리 전체적으로 숱이 많이 줄었습니다. 탈모전문병원에 갔더니 프로페시아와 미녹시딜 처방해주면서 두피주사 치료도 받으라고 하더군요. 일단 병원은 약만 처방을 하지 원인도 모르고 알아네려고 하지도않고 그런 실력도 없습니다. 다이어트탈모인지 유전성탈모인지 먼저 파악을 해줘야하는게 우선일텐데 그런 검사는 하지도 않고 프로페시아와
염기성인 장에서 녹아야 할 장용제를 위에서 녹게 만든다. 심한 경우 복통이나 위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이렇게 서로 상극인 약을 섞어먹거나 약과 궁합이 맞지 않은 음식을 함께 먹는 불상사를 막으려면 복용중인 약이름, 1회 복용량, 복용횟수, 상극인 물질 혹은 약 이름 등을 메모해두는 것도 한 방법이다. 또한 약을 샀다면 반드시 약에 동봉된 안내문을 읽어야하며 약을 먹은 후 신체에 이상이 생겼다면 바로 의사나 약사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 '의사·약사와 상의하십시오. 부작용이
함께 먹으면 안 되는 음식들 1. 타이레놀 + 술 - 사실 술은 모든 약과 상극이다. 이 중 특히 위험한 것은 타이레놀과 타이레놀 성분이 든 감기약인데, 윗 글의 설명을 봤고 술이 혹사시키는 장기가 어딘지를 생각하면 감이 올 것이다. 2. 자몽 혹은 자몽음료수 + 대부분의 약들 - 자몽은 약의 독성을 해독하는 간의 작용을 방해하는데, 이때문에 자몽과 함께 먹으면 안 되는
있을 수 있습니다.' 아버지가 당뇨약 드신지 얼마 안되셨어요. 규칙적으로 잘 드시고, 식단이랑 운동이랑 잘 하시는데 오늘 그냥 안과가셨다가 실핏줄 터졌다고 레이저 하고 오셨다네요. 그동안 눈에 실핏줄 터진적은 없고, 검안검?노화는 들어본적 있었거든요. 드시는 약의 부작용인지, 단순 노화인건지 걱정됩니다. ㅠㅠ 저녁에 오른쪽 고환도 아프고, 사타구니쪽도 당기고 아파다고 하더니 화장실 가니까 혈뇨가 나왔어요. 통증은 가라앉은 상태인데요 ㅠ 경험자분들 이거
- Total
- Today
- Yesterday
- 날씨
- 우한
- 너를 만났다 블로그
- 공수처 법안
- 전현무 이혜성
- 봄밤
- 오민석 조윤희
- 2020 골든디스크 방탄
- 한가인
- 전두환
- 이낙연 잠원동
-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 지현우 집
- 허재
- 윤박
- 코로나 크루즈
- 일요일 드라마
- 미래한국당 창당
- 나이키 백
- 우한 폐렴
- 천장등
- 동해 사고
- 미니가습
- 맨유
- U-23 챔피언십
- 애어팟
- 군산 코로나 확진자
- 여자배구 태국
- 청주 지진
- 건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